2023.02.03 (금)

  • 흐림동두천 -6.2℃
  • 구름많음강릉 -0.5℃
  • 흐림서울 -3.5℃
  • 흐림대전 -3.2℃
  • 흐림대구 -1.5℃
  • 구름많음울산 0.7℃
  • 구름많음광주 -1.0℃
  • 흐림부산 2.7℃
  • 구름많음고창 -3.2℃
  • 흐림제주 3.9℃
  • 구름많음강화 -6.7℃
  • 흐림보은 -3.4℃
  • 흐림금산 -4.6℃
  • 흐림강진군 -0.9℃
  • 흐림경주시 -3.2℃
  • 흐림거제 2.7℃
기상청 제공

경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 연매출 3조원 돌파

 

(뉴스타임24)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경제 위기에도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2022년 연간 매출 3조원을 돌파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 이익은 1조원에 육박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매출 2조4373억원, 영업 이익 96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8693억원(+55%), 영업 이익은 4316억원(+80%)씩 각각 증가했다. 매출액은 2020년 1조원 달성 이후 2년 만에 2조원을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2022년 연간 연결 기준 매출 3조13억원, 영업 이익 9836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27일(금) 공시를 통해 밝혔다.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삼성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1조4333억원(+91%), 영업 이익은 4463억원(+83%)씩 각각 크게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매출 9463억원, 영업 이익 2315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은 993억원(+12%) 증가했고, 영업 이익은 388억원(+20%)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말 연결기준 자산은 16조5821억원, 자본 8조9845억원, 부채 7조5976억원을 기록했다. 부채 비율은 84.6%, 차입금 비율은 23.4%로 안정적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연결 기준 4분기 매출 965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 이익은 312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공장 가동률 상승 및 운영 효율 극대화,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034억원(+68%) 증가한 7477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 이익은 매출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99억원(+140%) 증가한 308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에 따라 4분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28억원(+10%) 증가한 244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 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8억원(+180%) 증가한 604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등 전 세계 경제 위기에도 선제적 투자 및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을 본격화했다.

CMO 부문은 2022년 10월 착공 23개월 만에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 능력(24만L)을 갖춘 4공장 부분 가동을 시작해 위탁 생산 능력을 강화했다. 4공장은 현재까지 글로벌 제약사 8개사와 11종 제품에 대해 계약 체결을 완료했고, 추가로 26개 이상 잠재 고객사와 34종 이상의 위탁 생산 계약을 논의하고 있다.

CDO 부문에서는 비대칭 구조로 생산력,안정성을 높인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 '에스듀얼(S-DUAL)'과 신약 후보 물질의 안정성 등을 분석 및 선별하는 '디벨롭픽(DEVELOPICK)'을 출시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건수는 CMO 74건, CDO 101건이며, 누적 수주액은 95억달러 규모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2년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로 전환됐으며,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총 10종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가운데 6종을 상용화했다.

지난해에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SB5) 고농도 제형의 미국 허가를 획득했고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의 임상 3상을 완료하는 등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며 꾸준히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조5000억원을 투자해 3대 축(생산 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중심의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제2바이오캠퍼스를 통한 생산 능력 확장을 추진하는 한편, CDO 사업 강화 및 항체약물접합체(ADC),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소상공인

더보기
다채로운 먹거리와 깨끗한 시설로 고객들을 반기는 인천 남동구 구월시장
정겨운 사람 냄새로 가득한 구월시장은 어느 새 4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인천 남동구의 대표적인 명물이 되었다. 1982년, 골목시장으로 작게 출발했지만 지금은 그 어떤 시장보다 다채로운 품목을 자랑하는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20년 전부터 이 시장에 자리를 잡았던 박용준 회장은 구월시장이 긴 역사만큼이나 발전해 가는 시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만큼 시장에 대한 자부심도 대단하다. “현재 140여 개의 점포가 있으며, 어느 시장보다도 취급하는 품목이 많습니다. 상인들의 정성과 다양한 먹거리 때문에 마트로 가던 사람들도 구월시장을 찾고 있습니다.” 시설 개선의 핵심은 위생과 청결이다 취임한 이후로 구월시장의 발전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박 회장은 깨끗한 시장을 만드는 것을 시장 개선 사업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음식의 수준이 위생 및 청결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는 만큼, 먹거리를 주로 다루는 시장 또한 위생과 청결로 평가됨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품목의 다양성이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게 만든 동력이지만 이보다 더 진일보한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 분명 환경 정화는 이미지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판매되는 모든 먹거리의 질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국가 인재양성 초석 마련한다…‘인재양성전략회의’ 출범
  (뉴스타임24) 국가 인재양성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한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가 출범했다. 정부는 대통령 주재로 지난 1일 금오공과대학교에서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그동안 인재양성정책이 부처별,개별적으로 수행되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적 관점에서 범부처 협업을 통해 종합적,체계적인 인재양성정책을 수립,추진하고자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출범시켰다. 인재양성전략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관계부처 장관 등 정부위원과 교육계,산업계,연구계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약 30명 규모의 민관협력 협의체다. 앞으로 인재양성전략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인재양성정책의 부처 간 역할 분담과 조정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환경,에너지, 우주,항공 등 핵심 첨단분야 인재양성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로 지속 운영된다. 이번 제1차 회의에서 교육부는 '지역을 살리는 인재, 인재로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첨단분야 인재양성 전략'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현재 기술 수준과 유관 산업의 성장 전망을 고려해 5대 핵심 첨단분야를 도출하고 향후 체계적인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3대 전략 10개 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5대 핵심분야 인재양성의 체계를 구축해